한국· 미얀마 불교교류 현황과 숙제/ 이사장 빤냐완따 스님

Kusalo
2021-05-16
조회수 1075


 이 승이 한 때 경남 산청‘도성사’ 에 머물고 있었는데, 2009년 어느 늦은 봄날이던가, 경주 박달리에 사시는 <냐나로까 스님>께서 문득 찾아와 하시는 말씀, ‘숙제 하나 맡아주어야 겠습니다’

 

대한불교 조계종 산하 국제교류위원회에서 그해 가을에 ‘세계불교 교류를 위한 학술세미나’를 개최하는데, 미얀마 부분을 우리 <한국테라와다불교>에서 맡아달라는 요청이 있었답니다. 스님께선 미국 시애틀의 전법(傳法)일정 때문에 어렵다며, 기다란 제목 하나만 달랑 남겨놓고 떠나셨습니다.

 

‘글로벌시대의 개방에 따른 한국·미얀마 불교교류 현황과 과제’

 

그해 늦은 봄부터 늦가을 첫서리가 내릴 때까지 이 숙제를 위해 미얀마 현지인과 소통하면서 한국·미얀마 관련지역을 조사·연구했고,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가능한 한 현재의 정보를 얻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리고 미얀마 수행생활에서 실제로 보고 경험한 것들 또한 이 숙제를 마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6개월간의 노고 끝에 얻은 결과물로서, 불교국가 미얀마의 전면을 개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은 물론, 지금의 한국불교가 눈여겨보아야 할 미얀마의 불교교육에 대한 소중한 정보가 상세히 담겨져 있습니다. 부디 많은 분들이 이 자료 속에서 미얀마 불교의 귀감이 될 만한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길 바라며, 이를 토대로 더욱 건강한 신행생활, 바른 수행생활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코로나19가 1년 넘도록 인류의 얼굴 위에 마스크를 씌우고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1일 사망자가 일천 명을 넘어섰고, 불교국가 미얀마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군사정부의 폭압으로 인해 수개월 째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세상은 어느 한 때도 조용한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세상은 이처럼 불안정하기가 짝이 없습니다. 그런데 불안정한 세상보다도 더 불안정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사람의 마음입니다. 불안정한 세상을 바라보는 천차만별의 그 마음이 실은 더욱 불안정한 것입니다.

그 불안정한 것들을 우리는 온전한 내 것이라 굳게 믿으며 오늘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세상에 영원한 것은 애초에 없었습니다.

이 몸, 이 느낌, 이 생각, 그리고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랑하는 모든 것들, 이 세상의 그 어떤 물질도 정신도 조건도 언젠가는 반드시 혹은 곧 사라집니다.

불가사의한 중생업의 조건을 따라 예고 없이 <통째로> 사라집니다. 인생은 어쩌면 오래전에 이미 통째로 사라져버린 것들에 대한 관념일지도 모릅니다.

 

그 덧없는 관념의 집에 우리는 저마다의 비밀번호를 지닌 <아집>이라는 상표의 자물통을 굳게 채워놓고 시도 때도 없이 좋다, 싫다, 옳다, 그르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시비분별하면서 얼마나 많은 불면의 밤을 또 지새웠습니까?

 

온갖 욕심·성냄· 어리석음·원망·증오·질투· 슬픔·탄식의 원천이 되는 그 덧없는 것들을 움켜쥐는 데에 힘을 낭비하지 마십시오.

영원한 내 것이라 집착하고 있는 그 관념의 자물통을 부수고 밖으로 나와서, <자애·연민·통찰지혜>라고 하는 만능열쇠로써 굳게 닫힌 세상의 모든 문들을 활짝 열 수 있기를 기원하고 또 기원해봅니다.



《한국·미얀마 불교교류 현황과 숙제》

 

(발제논문-비구 빤냐완따 / 논평자-김재성 교수)

(2009년 11월 27일. 한국역사문화박물관 국제회의실)

 

[목 차]

 

1. 머리말

2. 미얀마의 지리와 역사

1)미얀마의 지리와 종족의 이해

2)왕조의 역사와 근·현대사

3. 미얀마의 불교흐름과 특징

1)미얀마의 불교전래와 흐름

2)미얀마 불교의 특징

4.미얀마의 승가교육과 수행전통

1) 미얀마의 승가교육 현황

2) 미얀마의 수행전통

5.한국·미얀마의 불교교류 현황

1)미얀마 불교의 국내 유입 배경

2)한국 내 미얀마 사원의 현황

3)미얀마와 교류중인 한국의 사원·단체

4)그 밖의 미얀마 관련 미디어·단체 현황

6. 한국·미얀마 불교교류 과제와 방안

 

...... 본문 내용은 맨 아랫쪽에 있는 <문서파일>로 올립니다 ......


 



(((이것으로서 한국테라와다불교 밴드 법문 연재를 일단락 하겠습니다. 교단 소속 스님들의 다양한 감로법문이 올려 질 수 있도록 의논하겠습니다. 지난 5월 6일자 법문 말미에 잠시 언급했듯이, 현재 교단 스님들의 법문이 매우 귀한 편이니 녹취든 영상이든 글이든 그 어떤 것이라도 확보 되는대로 올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직접 올려주시거나 <마하나마 고문>님 또는 <꾸살리 총무>님을 통해 올리셔도 좋겠습니다)))

 

 불멸 2565(2021). 5.16

천림산 기슭에서 합장




0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

ALL RIGHTS RESERVED.




© BYULZZI Corp.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byulz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