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파의 교의 없이 대승 성립할 수 있나/ 빤냐와로 삼장법사

관리자
2021-04-22
조회수 839

삼장법사 빤냐와로 스님의 “테라와다 이야기” 3


- ⓶ 테라와다를 소승이라 부르지 말자
“대승·소승이라는 가치 판단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하나의 불교를 배우는 자세가 필요”


3) 테라와다 불교를 소승불교라고 부르지 말자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소승불교」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아래의 3가지 개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①:대승불교 발흥까지의 제 부파불교
②:부파불교 중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③:현재의 동남아시아 상좌 불교(테라와다 불교)


부처님 입멸 후 100년경에 계율을 둘러싼 대립으로 출가 교단(상가)이 엄격파인 상좌(테라와다)들과 상좌로부터 떨어져 나온 수정파인 대중부(대승불교의 토대)로 근본 분열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그로부터 수백 년이 지난 기원 전·후의 북서 인도 부파불교 내부에서 「대승불교 운동」이 일어나 반야경, 법화경, 화엄경, 무량수경 등 이른바 대승경전이 차례로 만들어 집니다. 새로운 경전의 신봉자는 스스로를 깨달음에 이르는 「큰 수레=대승」이라고 칭하면서 전통적인 불교를 받드는 전통파를 「작은·뒤떨어진 수레=소승」이라고 비난 했습니다. 당시 북서 인도에서는 전통상좌들로부터 멀어진 설일체유부라는 학파가 큰 세력을 떨치고 있었기 때문에 협의의 소승불교는 설일체유부라고도 말합니다.


그러나 대승경전의 신봉자는 종래의 경전, 즉 붓다의 말씀인 「아가마, 아함경」을 능력이 뒤떨어진 제자들을 위해서 말한 가르침이라고 경시하며 최고의 성자인 아라한의 권위도 부정하게 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깨달음을 이룬 「아라한」보다, 부처님과 같은 불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보살 수행」이 훨씬 뛰어난 수행이라고 선양했습니다. 이런 관계를 보아 원래 「소승불교」라고 불린 불교는 ① 대승불교 발흥까지의 부파 불교 일반이라고 보는 편이 타당할 것입니다.


한편 전통적인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대승경전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상황은 믿을 수 없는 파계 행위입니다. 새로 만들어진 경전이라는 것은 상가결집이라는 경전의 확인 작업을 통해서 결의된 <부처님의 말씀을 보태거나 삭제하거나 변형하지 않는다.>는 3가지 원칙에서 보면 심각한 위법행위입니다. 전통 경전은 부처님의 직설을 시자인 아난다존자와 우빨리 존자가 구술하는 것을 최고의 성자(아라한)인 마하깟사빠 존자, 아누룻다 존자, 그리고 사리뿟따 존자의 제자들을 비롯한 부처님의 성스러운 500명의 아라한 제자들이 내용을 승인한 엄격한 과정(경전 1차 결집)을 거쳐 편찬 되었고, 그 이후도 추가의 결집은 있었지만 부처님의 말씀(붓다와짜나)을 보전하고 지키려는 전통 안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부처님의 언행록을 무질서하게 내용을 덧붙이고 새롭게 만드는 것은 있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그 정확함은 소속부파가 뿔뿔이 흩어진 뒤에도 그것들을 모아 비교ㆍ조사해보니, 한역 아함부와 빨리어의 삼장이 상당히 공통되어 있어 대승 제경전과 같은 교의상의 혼란을 볼 수 없는 것으로도 분명합니다.



대승경전이 창작되었던 시대는 이미 제 부파불교 경전(경·론·논의 삼장)의 정통성은 확립되어 있었습니다. 그런데 아함부나 빨리 삼장의 어디를 봐도 경전의 설법 상대로서 보살은 등장하지 않습니다. 부처님의 입멸 후에 행해진 경전 결집에서도 대승경전은 그 흔적조차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또 부파 불교 시대에 확립되어 있던 과거불(過去佛) 신앙에서도 제불(諸佛)의 교단은 비구·비구니·우바새·우바이의 네 종류 제자에 의해 유지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과거·현재·미래를 관철하는 불교의 교의 체계에서 대승의 형이상학이 비집고 들어갈 여지는 없었습니다. 그래서 「(대승경전은) 비밀스런 가르침이다」,「인간이 아니라 신들이 들었던 경전이다」라고 그야말로 변명을 늘어놓게 되는 것입니다.

대승 불교에서는 중관·유식의 2대 종파가 일어나서 부파불교나 불교 외의 종교와도 활발하게 논쟁을 펼쳤다고 하지만 그것은 지식적인 일이었고, 대승 불교는 서기 4세기가 되어도 독자적인 교단을 조직 하는 일 없이 전통적인 부파 불교에 기생하는 형태로 존속하고 있었다고 봅니다. 대승경전을 봉독하는 교단과 부파 불교와의 차이는 대승경전을 소리 내어 읽게 하는 것, 보살을 예배하는 것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실천 체계로서의 대승불교는 ② 부파불교 특히 설일체유부의 계율과 아비다르마의 메뉴얼을 전제하여 대승경전의 보살 수행을 찬탄하거나 실천하는 일이었습니다. 대승불교의 실천체계는 설일체유부 등의 아비다르마를 이용하지 않으면 마음의 성장을 위한 실천방법으로 기능하지 않아서 수행의 완성을 부정하게 되고, 수행하지 않아도 일체중생은 원래 깨닫고 있다는 개념적인 것에 함몰되기에, 후에 인도에서 대승 불교를 도입한 중국과 후기 인도 대승을 계승한 티베트불교도 같은 노선이 답습되었습니다.


대승파와 부파에서 수호해 온 경전은 실크로드를 거쳐 각각의 형태로 중국 문화권에 전해졌습니다. 인도의 초기불교~부파불교의 세력권을 떠나 대승불교는 자유의 신천지에서 꽃피워집니다. 거기서 종래 부파계의 경전(아함이나 논장)은 뭉뚱그려 「소승」이라고 여겨졌습니다. 중국에서 뿔뿔이 흩어져 전해진 경전을 자신들의 사고로 본래의 문맥과 관계없이 바꾸고 분류하여, 실제 활동하고 있었던 부파불교와는 관계없는 것으로, 경전의 분류 항목으로서 「소승불교」가 만들어 졌던 것입니다.


그러나 대승불교는 부파불교의 교의 없이는 실천 체계로서 성립되지 않는 약점을 안고 있습니다. 그래서 중국의 불교도는 실크로드나 해로를 통하여 인도나 스리랑카 등에서 제 부파와 대승파가 서로 비판하면서도 닮아있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모습을 알고 있었습니다.


아득하게 세월이 흘러 20세기에 한국의 불교도는 대승불교 이외의 불교, 즉 ③ 상좌불교(테라와다 불교)를 계속 지켜온 동남아시아·남부아시아의 불교도들과 만납니다. 테라와다 불교는 약 2천3백 년 전 아쇼카 왕 시대에 불교 전도사를 통하여 스리랑카에 상륙했고 동남아시아 전역에 전파되었습니다. 테라와다 불교를 부처님 본래의 가르침에 가장 가까운 불교라고 서구의 학자들이 평가하자, 한국의 불교학자들은 그들을 「소승불교」라는 말로 차별합니다. 대승불교의 전통에서 살아온 분들이기에 실제로 처음부터 거기에 있는 테라와다 불교를 한국의 학자들은 고정관념으로 「소승불교」라고 계속 부른 것입니다. 근대화에 성공한 한국인들이 우월의식으로 다른 아시아 불교도를 아래로 내려다보는 의미도 있겠지요. 마치 같은 대승불교라고 해도 티베트불교를 라마교라고 하듯이. 그런데 최근에는 남을 깎아내리는 것은 실례라는 양심에 밀려 역사적, 교육과 학문적인 의미에서의 「소승불교」라고 하면서, 「테라와다 불교」와 구별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대승 불교의 땅」이라는 한국에서도 최근에는 테라와다 불교를 신앙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대승·소승」이라고 하는 가치 판단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하나의 불교를 배우는 자세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라고 판단됩니다. <계속>


 

0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중부권) 031-475-9171  (남부권) 052-260-2841

            (PHONE)  010-8848-3468/010-7360-9171

E-MAIL: theravada2008@kakao.com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중부권) 031-475-9171

            (남부권) 052-260-2841

           010-8848-3468/010-7360-9171

E-MAIL: theravada2008@kakao.com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

ALL RIGHTS RESERVED.




© BYULZZI Corp.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byulzz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