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을 한다

사깜마
2024-10-24
조회수 86

*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는 연습을 한다. (20240504. 법문교재)

 

인간은 항상 '나는 완벽하다'는 자세로 살아갑니다.

상대나 아이가 제멋대로라든지, 직장동료가 친절하지 않아서 불행하다든지, 잘못은 주위의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나는 언제나 완벽하다고 생각하면서 매일을 힘들게 합니다. '나는 왜 불행한가?' 하고 물어보고 그 이유를 적어보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불행의 원인은 주위 사람이나 환경 등 다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불행의 원인이' 자신'에게 있다고 말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내 불행을 만든 건 나야"라는 생각조차 하지 않아요. 우리는 항상 불행의 원인을 우리 자신 밖에서 찾습니다.

 

사실 행복과 평화는 매우 단순합니다.

불행의 원인을 밖에서 찾지 마십시요. 그게 전부입니다. 

행복해지고 싶다면 다른 사람의 실수를 신경 쓰지 않는 성격을 만들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다른 사람이 잘못된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은 당신 자신의 판단일 뿐입니다. 그런 결정을 내리는 순간, 자신이 옳다는 느낌이 도사리고 있습니다.

 

"정법을 배우는 자는 다른 사람의 말과 행위에 신경을 쓰거나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느니라. 정법을 배우는 자는 단지 자기 자신의 착한 업과 착하지 않은 업을 살펴보아야 하느니라."

 

나 빠레상 윌로마니, 나 빠레상 까따까땅

Na paresaṁ vilomāni, na paresaṁ katākataṁ

아따노와 아웩케이야, 까따니 아까따니 짜

Attanova avekkheyya, katāni akatāni ca. [Dhammapada 50단어]

다른 사람의 실수는 당신과 상관이 없다.

다른 사람이 한 일과 하지 않은 일을 보는 대신, 

당신이 무엇을 했는지와 하지 않았는지를 살펴보십시요. [담마빠다 50단어]

 

이것이 부처님의 직접적인 가르침입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나쁜 점에 초점을 맞추고 그들에게 뭔가를 말하고 싶어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니 이렇게 연습해 보세요. 

상대방의 잘못을 보면 '아, 내가 옳은 사람이구나' 또는 '내 자존심이 나왔구나'라는 생각이 든다. 이것을 깨달을 때, 마음이 진정되고 원인과 결과의 법칙에 따라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지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부처님 자신의 인도라는 것을 이해하고,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실수에 대해 걱정하지 않기로 결정합니다.

 

부처님께서 진리를 발견하셨을 때, "지혜의 눈이 생겨났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는 인식의 지혜를 '눈'에 비유함으로써 표현했습니다. '생겨났다'는 것은 지금까지 지혜의 눈이 없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지혜의 눈이 있는 사람은 사람을 좋고 나쁘게 판단하지 않습니다. 자아가 사라질 때, 사람은 더이상 선하거나 악하지 않게 됩니다. "여기 산이 있어", "저기 강이 있어", "저기 절벽이 있어"를 보는 것과 같습니다.

 

지혜의 눈이 있으면 벽이 보이더라도 벽에 부딪히지 않도록 무심코 가면 됩니다.

우리는 벽이 나쁘기 때문에 벽에 부딪혀 마음의 평화를 파괴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성도들의 삶의 길을 따라 '남의 실수가 불만족(괴로움)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마음의 평안을 지키자'는 마음으로 살아갑시다.

 

「좋다·싫다」가 생겼을 때 그것들을 사띠하지 않으면, 문제가 일어납니다.

반대로 「좋다·싫다」라고 하는 것의 본질을 이해한다면, 「이 「좋다」라고 하는 감정에는 아무것도 없고, 단지 일어나 사라지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싫다」라고 하는 감정도, 단지 일어나 사라져, 그 이상 아무것도 없다면, 왜 「좋다·싫다」로부터 여러 가지 감정을 만들어 낼 필요가 있는 것인가」라고 관찰하겠지요. 

「즐거움(좋다)이나 괴로움(싫다)은 자신의 것이다」라고 생각하면, 우리는 괴로움에 빠져, 이 끝없이 계속되는 윤회 속에서, 고민이나 불안, 그외 여러 가지의 감정을 넘을 수 있을 것입니다.

 

「adināvakathā〔아디나-와까타-〕」라고 말합니다. 의미는 조건지어져 성립되고 있는 세상은 불완전해서 한계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행복한 때,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행복을 관찰합니다. 「행복은 영원히 계속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하는 것을 자주 관찰해, 행복에 집착하지는 않습니다. 

행복은 손에 넣어야 할 것이지만, 행복의 좋은 점과 나쁜 점 양쪽 모두를 이해해, 그 후 손 놓아야 하는 것입니다.

 

지혜를 사용해 잘 명상하려면, 행복의 다른 측면인 마이너스면을 관찰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거기서 이와 같이 관찰해주세요. 행복이 나타났을 때, 행복의 마이너스면(불완전성)이 명확하게 될 때까지 철저하게 관찰합니다.

 

"모든 것은 괴로움(불완전)이다"라고 하는 것을 이해하면, 마음은 nekkhammakathā〔넥캄마까타〕(방폐·떨어지는 것)를 이해하겠지요. 

마음은 평정이 되어, 괴로움을 해결하는 길을 요구하게 됩니다. 

 

평정하게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있는 그대로 맛보고, 좋다나 싫다고 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에서 생깁니다. 

평정은 모든 것에 집착하거나 고집하거나 하는 욕망이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마음에는 집착이 없습니다. 집착이 없는 평정인 침착성으로, 모든 것을 관찰합니다. 이것이 실천으로부터 생기는 평온함인 것입니다.

 

남의 행위의 옳고 그름만 판단해서 자신의 고통을 더 늘릴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자신의 마음 상태를 보고 이를 점차적으로 정화하면 됩니다.

내 마음속에 생기는 욕심, 분노, 시기, 질투, 게으름 등을 보면서 그것들을 없애는 것입니다. 자신의 행동에 대해 좋은지 나쁜지 분별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탐욕, 성냄, 질투, 자만, 이기심들이 말을 지배해서는 안 됩니다. 말을 많이 하면 확실히 마음의 고요와 올바른 생각이 방해받게 됩니다. 그리고 입이 가벼우면 올바르지 못한 말을 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뒤에서 헐뜯는 사람을, 작지만 해로운 모기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모기는 노래를 부르며 사람에게 달려들어 피를 빨아먹습니다. 그리고 그 모기가 암놈이라면 말라리아를 옮길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간하는 사람의 말은 꿀처럼 달콤할 수 있지만, 그의 마음은 독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또한 잡담은 자신이 항상 적의를 품고 있다거나 어리석다는 고백과 같습니다.

그러나 "마음으로 하는 말, 즉 가슴에서 우러나오는 말은 항상 간단하고 우아하며 힘이 넘칩니다."

 

말할 때 지킬 점

1) 바른 시기, 시점에 말을 한다. 

2) 진실한 말을 한다.

3) 부드러운 말을 한다.

4) 이익이 되는 말을 한다.

5) 자애로 말한다.


출처: https://cafe.naver.com/buddhayana1/1237


0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ALL RIGHTS RESERVED.


CONTACT

INFORMATION


상호명 : (사)한국테라와다불교


법인등록번호 : 135-321-0000777

이사장: 이용재

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반계1길 21-33 붓다의 길따라 선원




TEL:   010-4242-5140/ 010-3181-2316

E-MAIL: stonhi27@hanmail.net


Copyright© 사단법인 한국테라와다불교 사무국

ALL RIGHTS RESERVED.




© BYULZZI Corp. All Rights Reserved. hosting by byulzzi